“나는 기초수급자는 아니지만 생활은 빠듯한데... 혜택 받을 수 있을까?”
바로 이런 분들을 위한 제도가 차상위계층 지원입니다.
2025년부터는 혜택이 더욱 확대되어 반드시 알아두셔야 할 정보입니다.
차상위계층이란?
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보다 소득이 높지만 여전히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계층으로, 정부로부터 다양한 맞춤형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2025년 기준으로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% 이하일 경우 해당됩니다.
2025년 소득 인정 기준
차상위계층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의 50% 이하입니다.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며, 다음 표를 참고하세요.
가구원 수 | 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% |
---|---|
1인 | 약 1,190,000원 |
2인 | 약 1,960,000원 |
3인 | 약 2,510,000원 |
4인 | 약 3,050,000원 |
소득인정액 산정 방법
실제 소득과 보유 재산을 합산해 소득인정액을 계산합니다.
예: 아르바이트 월 80만 원 → 기본 40만 원 공제 + 나머지 40만 원의 30% 추가 공제 → 약 28만 원만 소득으로 인정
재산의 경우 예금, 전세보증금, 차량 등 자산을 환산하여 소득처럼 계산합니다.
주요 지원 혜택
차상위계층으로 인정받으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분야 | 지원 내용 |
---|---|
생계/생활 | 푸드마켓, 정부양곡 할인, 기저귀·분유 바우처 등 |
교육 | 국가장학금, 평생교육 바우처, 다자녀 학자금 등 |
주거/에너지 | 고효율 가전, LED 지원, 주거환경 개선, 에너지바우처 |
돌봄/복지 | 가사간병, 아이돌봄, 장애수당, 장애아동수당 |
통신/교통 | 통신비 감면, 도시가스 요금 지원, 청년 교통비 지원 |
금융/취업 | 저금리 대출, 취업지원, 청년저축계좌, 디딤씨앗통장 |
문화 | 문화누리카드 연간 11만 원 이용권 제공 |
2025년 특별 지원
- 민생회복지원금: 차상위계층 1인당 최대 40만 원 지급 (농어촌 지역 최대 42만 원)
- 지자체 추가 지원: 거제시 등 일부 지자체는 별도 20만 원 추가 지급
- 소상공인 특별 자금: 저금리 운영자금 우선 지원
신청 절차 및 방법
✅ 준비 서류
- 소득 증빙자료 (급여명세서, 알바 수입 내역 등)
- 재산 목록 (부동산, 차량, 예금 등)
- 금융정보제공 동의서, 통장 사본 등
✅ 신청 경로
- 오프라인: 주민센터 방문 접수
- 온라인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정부24
✅ 처리 일정
- 신청 후 30일 이내 결과 통보
- 이의 있을 경우 60일 이내 이의 신청 가능
Q&A
Q1. 현금 알바 소득도 신고해야 하나요?
A. 네. 세금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실소득은 포함됩니다. 다만 일정 금액 공제되어 오히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.
Q2. 차량이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?
A. 차량도 재산으로 평가되나, 일정 기준 이하 차량은 공제 대상이므로 상황에 따라 신청 가능합니다.
Q3. 재산이 많아도 소득이 적으면 받을 수 있나요?
A. 재산도 소득으로 환산되어 포함되므로 둘 다 고려해야 합니다. ‘소득인정액’ 기준을 확인하세요.
Q4. 자격이 될지 헷갈리면 어떻게 하나요?
A. 복지로 홈페이지의 ‘모의계산기’를 이용하면 간단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.
결론 및 행동 촉구
“소득은 적당한데 생활은 빠듯하다면?”
그럴 때 꼭 알아봐야 할 제도가 차상위계층 복지 지원입니다.
지금 확인하고, 놓치는 혜택 없이 꼭 챙기세요!